id="tt-body-page" class="layout-aside-right paging-number" !-- theme ---> >
본문 바로가기
sharing info

통계적 추정(Estimation) - 구간추정(Iterval estimation)

by lamdz 2022. 1. 18.

구간추정(Iterval estimation)은 신뢰구간을 만들어서 점추정의 정확성을 보완하는 겁니다.
여기서 신뢰수준이란 모수값이 정해져 있을 때 다수 신뢰구간 중 모수값을 포함하는 신뢰구간이 존재할 확률이죠.

 

선거여론조사에서 매주 보는
 신뢰수준 95% 의미 : n번 반복 추출하여 산정하는 신뢰구간들 중에서 평균적으로 95%는 모수 값을 포함하고 있을 것이라는 의미입니다.

 

예를들어,
선거 지지율 조사에서 A후보는 40%, B후보는 25%의 지지율을 얻었다. 신뢰수준 95%에서 표본오차는 3.1%포인트이다 동일한 형태의 여론조사를 100번 실시했을 경우에 95번은 A후보가 40%에서 ±3.1% 인 36.9% ~ 43.1%, B후보는 25%에서 ±3.1% 인 21.9% ~ 28.1% 사이의 지지율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의미이다

 

근데 궁금한게,
요즘 매주 나오는 대선 후보 지지율 조사결과를 보면 약 5천만 국민 중 1,000 정도의 표본을 가지고 지지율이 발표됩니다. 엥....1,000명의 의견으로 지지율과 당선 가능성을? 표본의 크기에 대한 궁금증이 생깁니다. 그러면 몇 명이나 설문조사나 전화 응답한 비율을 활용해야 하나? 쉽지 않죠?
..;....
모집단과 오차 한계에 따라 표본의 크기가 달라집니다. 표본크기 계산식을 알지 못하더라도 표본 크기 계산기를 검색해 보세요.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