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d="tt-body-page" class="layout-aside-right paging-number" !-- theme ---> >
본문 바로가기
sharing info

레저스포츠 관광 활성화 방안

by lamdz 2014. 5. 23.

 

2013-14 레저스포츠 관광 활성화 방안(연구책임자: 박경열 책임연구원)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레저스포츠 관광 활성화 방안.pdf

1. 연구 배경
□ 박근혜 정부는 국정 목표 달성을 위한 추진 전략으로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를
제시하고, 고부가가치 6대 관광?레저중 하나로 레저?스포츠를 제시함
○ 박근혜 정부는 '창의교육과 문화가 있는 삶'의 국정 목표 달성을 위해 '나
를 찾는 문화, 모두가 누리는 문화 구현'의 추진 전략으로서 관광산업 경
쟁력 강화를 제시하고 있음
-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추진 계획으로 MICE, 한류, 크루즈, 역사
'전통문화 체험 및 레저,스포츠 등 고부가가치 6대 관광?레저산업 육성을
국정과제에 포함하였음
□ 문화체육관광부는 '13년 국정과제 추진계획에서 스키코리아 브랜드 등을 추진
과제로 제시하여 레저스포츠에 대한 정책 관심도는 증가하고 있음을 봉
○ 고부가가치 6대 관광?레저산업 육성의 국정과제 추진을 위해 문화체육관
광부는 스키코리아 브랜드 등 동계 스포츠 관광자원화 추진을 제시함
- 스포츠 산업 복·융합화, 첨단화를 통한 경쟁력을 제고시키려는 방안을
제시하고 있어 관광활성화 측면에서 레저스포츠에 대한 정책적 기능과
역할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필요함
□ 국민소득증가, 주5일 근무 정착 등 여가시간 증대로 인해 레저스포츠 참여 인
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, 신레저시대의 레저스포츠 활동 등이 등장함
○ 전문 레저스포츠 참여를 넘어 자연지형적 특성을 활용하여 모험과 성취욕
을 즐기는 레저스포츠의 수요는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그 유형도 다변화
되고 있음
- 국내 레저스포츠는 유형별로 육상?수상?항공 등의 분야에서 약 60여종목
이 있으며, 연간 참여 이용자 수는 4천만 명, 약 15천 여 레저스포츠업
에 약 13만 명이 종사하는 것으로 추정되어지고 있음
- 최근,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다양한 레저스포츠 이벤트를 개최하고, 복합
레저스포츠 단지를 조성하는 등 레저스포츠 참여 기회 확대와 활동 공
간 제공을 통해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
□ 그러나, 그간 관광정책이 관광사업 및 산업에 초점을 두고 추진되어 신레저시
대 관광 수요에 대응한 정책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음
○ 그 동안 관광정책은 관광사업체와 관광산업을 중심으로 추진되어 레저스
포츠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수요자들의 변화에 따른 정책적 접
근이 부족하였음
○ 또한, 다변화?다양화되어지고 있는 레저스포츠 중 관광정책 요소와 영역
내에서 접근이 필요한 분야인 캠핑?스키 등에 있어 관광 활성화 방안에 대
한 논의가 부족하였음
□ 따라서, 다양화?다변화되고 있는 레저스포츠 활동 중 관광 정책적 접근이 필요
한 분야를 중심으로 관광활성화와 연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심도 깊은 논
의와 접근이 필요함
○ 레저스포츠는 여가(leisure)에서 행해지는 스포츠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
어 어떤 스포츠 활동이든 여가시간에 행하여지고 있으며, 유형이 정형화
되어 있지 않아 사전적 정책 처방 연구가 필요함
○ 또한, 활동별 레저스포츠의 확산, 확대 및 증대를 통해 국가 및 지역 관광
활성화와 연계시켜 새로운 관광정책의 수단으로서 의미를 재해석해 보고
이에 대한 정책 추진 과제와 방안들에 대한 탐색적 고찰이 필요함

2. 연구 목적

□ 신레저시대 레저스포츠의 주요 트랜드 변화와 동향을 분석
○ 신레저시대 다양화, 다변화된 활동별 레저스포츠 영역에 대한 주요 트랜
드 변화와 동향을 분석하여 관광정책 영역에서의 지위와 역할을 제시함
○ 관광정책의 영역에서 레저스포츠 활동을 중심으로 중장기적으로 정부(중
앙, 지방)가 추진해야 할 정책적 추진 방향을 제시함
□ 신관광정책의 새로운 동력으로서 레저스포츠의 수요 변화를 평가
○ 국민국내관광 확대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, 국가 인바운드 관광정책의
새로운 동력으로서 레저스포츠의 수요 변화를 파악하여 평가함
○ 유형별 레저스포츠 영역에 대한 관광정책의 관심도 제고와 인식 전환을
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함
□ 레저스포츠를 통한 관광 정책 의제와 활성화 방안의 기반 제공
○ 활동별 레저스포츠 중 캠핑, 스키 등 주요 레저스포츠 분야의 관광정책
영역에서의 정책 의제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
○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, 액티비티 레저에 대한 관심 증가로 레저스포츠
가 주목을 받고 있으나, 정책적?탐색적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어 이
에 대한 정책 연구들을 촉발시킴

3. 연구 범위

□ 대상적 범위
○ 레저스포츠 (캠핑, 승마, 스키 등 동계스포츠)
□ 내용적 범위
○ 레저스포츠 트랜드 변화와 환경 분석
- 레저스포츠 개념과 유형
- 레저스포츠 트랜드 변화와 전망
- 레저스포츠 정책 환경 분석
○ 활동별 레저스포츠 참여 실태와 동향 분석
- 국내 레저스포츠 이용 실태
- 레저스포츠중 캠핑, 승마, 스키 동향 분석
○ 활동별 레저스포츠 관광 활성화 방안
- 레저스포츠 관광 정책 추진 방향과 의제
- 활동별 레저스포츠 관광 활성화 방안

4. 연구 방법

□ 관련 선행 연구 문헌 검토
○ 레저, 레저스포츠, 스포츠관광 등의 분야에서 연구된 트랜드, 동향 및 전
망 등의 관련 문헌을 검토
○ 특히, 신레저시대를 맞이하여 새로운 레저스포츠 등장 영역과 이를 둘러
싼 법제도적 및 정책적 환경 등을 분석
□ 전문가 자문 및 자문회의
○ 원내외 전문가 자문회의 등으로 연구 방법론을 보강함
○ 활동별 레저스포츠 이용 실태 및 수요 변화 등을 파악하기 위해 캠핑, 승
마, 스키, 레저 등의 분야에 지식이 풍부한 전문가 자문을 실시함
□ 국내외 사례 조사
○ 활동별 레저스포츠 분야에 따른 주요 선진국의 변화, 각국의 정책 추진
방향 등에 대한 조사를 별도로 진행함
○ 특정 레저스포츠 분야(캠핑, 승마, 스키 등)에 대한 국내 이용 현황과 참
여 동향 등을 분석함

5. 연구목차

제1장 서 론
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
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
제2장 레저스포츠 트랜드 변화와 환경 분석
제1절 레저스포츠 개념과 유형
제2절 레저스포츠 트랜드 변화와 전망
제3절 레저스포츠 정책 환경 분석
제4절 소 결
제3장 활동별 레저스포츠 참여 실태와 동향 분석
제1절 레저스포츠 이용 실태와 국외 시장 및 정책 사례 분석
제2절 레저스포츠중 캠핑 동향 분석
제3절 레저스포츠중 승마 동향 분석
제4절 레저스포츠중 스키 동향 분석
제5절 소 결
제4장 레저스포츠 관광 활성화 방안
제1절 정책 추진 방향
제2절 레저스포츠 관광 활성화 방안
제3절 활동별 레저스포츠 관광 활성화 방
제5장 정책 제언
참고문헌
ABSTRACT   【출처:한국문화관광연구원 

댓글